본문 바로가기

01. operation

(34)
sar sar 명령어 sysstat rpm 패키지에 존재하고 있다. sar는 기본적인 system에 관한 정보를 남길수 있도록 되어져 있고, 설치하는것을 추천한다 sar 1 10 (system activiry report를 1초에 한번씩 총 10회 보여준다) CPU %user %nice %system %iowait %steal %idle %user :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CPU 사용률 %nice : nice로 스케쥴링의 우선도를 변경한 프로세스가 사용자 모드에서 CPU를 소비한 비율 %system : user에서 요청한 부분을 처리하기 위한 system사용률 (ex:system call) %iowait : I/O 관련되어진 대기율 %steal : xen등과 같이 가상CPU에 관련되어진 CPU사용률 %idle :..
linux 일반 (mount) windows와 같은경우는 마운트 라는 표현을 쓰지 않고, 붙인다...라고 표현을 많이 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실제로 저도 그렇게 사용을 하고 있구요... 디스크를 추가하거나, cdrom에 cd를 넣거나, 혹은 usb를 연결하거나 할때 linux에서 마운트작업을 한다고 합니다. 대체적으로 unix에서 마운트작업은 번번히 일어나는 작업이고, 또한 신중한 작업이기도 합니다. backup, restore, 추가 등등의 작업이지요... mount작업은 간단하면서도 까다로운 작업임이 틀림 없습니다. 일반적인 cd mount 방법 mount -t iso9906 /dev/cdrom /media/cdrom iso이미지 마운트 방법 mount -o loop ./RHEL5.2_x86/rhel5.2_dvd_x86.iso..
Linux 일반 (system shutdown, runlevel) 컴퓨터는 파워스위치만 켜면 켜집니다.. 끌때는 그냥 파워스위치만 누르면 꺼집니다...정말 편리하지만, ext2혹은 ext3와 같은경우는 disk에 곧장 write를 하지 않고 일종의 buffer(혹은 cache)에 넣어두고 이 buffer에서 disk에 실질적으로 write를 하게 되어집니다. 그렇다 보니 급작스러운 정전, 혹은 예기치못한 사고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그래서 shutdown작업전에는 항상 sync명령을 내려 buffers에 있는 내용을 모두 disk write를 한 후 shut가 되어지는것이 정석입니다. poweroff 명령어> shutdown -k : 실제로 종료하지는 않고 사용자에게 경고 메세지를 뿌립니다. -r : reboot (==reboot 명령어와 동일합니다) -h : halt..
lost+found 디렉토리는 무엇을 하는 녀석인고? linux file disk를 살펴보면 항상 새로운 파티션의 root에 해당 하는 부분에 보여지는 lost+found라는 디렉토리의 정체에 대해서 궁금증을 무심결에 넘겼을지도 모른다.. 이 디렉토리는 fsck또는 e2fsck등과 같은 파일 시스템 체크 및 복구 유틸리티 실행시에 연결이 끊어진 inode들이 숫자 파일형태로 존재하는곳이다. 텍스트파일경우에는 여러가지 명령어를 통해 내용을 확인후 복구할수도 있다. 중요하다면 중요한 디렉토리이니 가급적 삭제 하지 않는것이 옳바르다.. 가끔 보면 삭제해도 될까요? 라고 하는데.... 정말 disk공간이 부족하다면 뭐 별수 없을것 같지만...그래도 삭제 하지 않는것이 정답이지 않을까?
linux disk swap 늘리기 swap는 일반적으로 시스템 성능이 많이 저하되어질때 스왑을 늘리는 방법이 있습니다. 현재 메모리의 정보나 swap의 정보를 보시고 싶다면 free / swapon -s 명령을 사용하여 보시면 됩니다. 첫번째 방법> disk partition으로 남은 공간 활용하기 물론 이 방법은 disk를 완전히 사용하고 있다면 서용이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disk에 남은 공간을 두지는 않겠죠?) 그리고 이 부분에 대해서는 fdisk만 잘 보시면 충분히 해답을 얻을수 있을것이라고 생각합니다 (t....이라고 말하진 않겠습니다..^^;) -->물론 이 작업이 행해진다면 fstab에도 잊지말고 등록을 해주셔야 합니다. 두번째방법> 파일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touch로 swap이라는 빈 파일을 만들어 줍니다. cmd>..
mke2fs 사용방법? (이런것도 포스팅해도 되려나?) mke2fs에는 상당히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Block size, Fragment size, inode수, 슈퍼블록, 첫번째 데이터 블록...........등등등 (적기 귀찮으므로 패스) 사용방법> ex>mke2fs -t ext2 /dev/sda1 ext2시스템 형식으로 포맷을 합니다. option -t ext2 (ext2형식의 포맷) -j (ext3형식으로 포맷 - 저널링 기술이 적용이 되어졌습니다) -b 숫자 (블록크기를 지정합니다) -c (배드블록을 검사합니다, 상당한 시간이 걸립니다) -f 숫자 (Fragment를 등록합니다. 가급적 비추천해드립니다->디스크장애요인이 될수 있습니다) -i 숫자 (inode당 바이트수 지정 티폴트는 4096입니다) -m 숫자 (root의 예비블록을 남겨줍니..
linux hdparm 사용과 fdisk 명령어 hdparm 디시크의 속도와 성능을 테스트하는 툴로써 사용되어지고 뿐만 아니라 일부의 튜닝도 가능합니다. hdparm -t /dev/sda 와 같은 형식으로 사용을 할수있고, "-t"옵션은 버퍼링이 전혀 되지 않은 데이터를 실제로 얼마나 빠르게 읽을수 있는지 확인하는것입니다. 옵션 -t : 버퍼링 되어지지 않은 데이터를 읽을때 -T : 버퍼링 되어진 테이터를 읽을때 (cache) fdisk 일단 리눅스 시스템에서 장치명을 어느정도는 익히 알아두셔야 할것입니다. 예를들면 IDE방식의 HDD는 /dev/hda와 같은 형식으로 생기고 파티션작업을 해서 나눈다면 /dev/hda1이라고 생성이 되어질것입니다. 물론 물리적인 디스크는 hda가 맞습니다. SCSI장비와 같은경우는 sda의 형식을 따르고, 파티션을 나..
linux system disk 추가 하기 1. 현재 시스템의 mount되어진 disk 확인 1>fdisk -l 2>mount 2. HDD 장착 3. fdisk로 disk 파티션 생성 fdisk /dev/sdc (장비명) cmd>p ->Id확인 cmd>n (파티션 number 입력) cmd>w (저장) 4. mke2fs /dev/sdc (장비명) 5. dir 생성후 mount fstab에는 /dev/sdc /dir filesystem type(ext3) defaults 1 2 위와 같은 방법으로 추가를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fdisk에 관련되어서는 다시한번글을 올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