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85)
netstat 활용 netstat로는 네트워크연결, 라우팅 테이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상태등을 점검할수 있습니다. option -a 모든것을 보여줍니다. -n 10진수로 출력하여줍니다 -r 라우팅 정보를 출력하여 줍니다. -p 생행되고 있는 각 프로그램과 PID정보를 출력합니다. -i 모든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정보를 출력합니다 (특정도 가능합니다) -c 연속적으로 출력합니다 -l listen상태로 출력합니다 -s 프로토콜에 대한 통계정보를 출력합니다. netstat로 확인을 하다보면 몇가지 더 알고 있어야 하는부분이 있습니다. LISTEN : 연결가능한 상태 SYS-SENT : 연결을 요청한 상태 SYN_RECEIVED 연결요구에 대한 응답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 ESTABLISHED : 3handshake를 종류후 연결..
Linux Networking Admin 굳이 admin이라고 말해야할지....말아야 할지...뭐...일반 유저가 사용할일은 아마도 없을것입니다..>_ 콘솔 GUI로는 netconfig를 사용할수가 있습니다. ping... 관리자분들은 정말로 이 ping이라는 명령어를 자주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ping을 날렸을때 응답을 해주는 ICMP를 disable시켜두면 ping으로 응답을 하지 않는것은 당연하지요...간단하게 몇가지 옵션만 정리하겠습니다. -c NUM (NUM횟수만큼만 ping테스트를 합니다) -s NUM (NUM만큼 페킷 사이즈를 전송합니다 단위는 byte입니다) -i NUM (NUM 만큼의 시간후에 ping테스트를 합니다) -q (지속적으로 하지 않고, 종합 결과만 보여줍니다) traceroute 특정 구간에 대해서 어떠한 ..
linux Network setting 리눅스를 설치하다보면 종종 네트워크 상태를 변경하거나 또는 IP변경을 하거나, route정보를 변경해야할 일이 생깁니다. 그럴때마다 솔직히 저도 명령어 찾아봅니다...-_- 헷갈리는게 있고, 날마다 있는 작업이 아니다보니 아무래도 생소(?)하기도 하구요... 1.route정보 변경 route add default gw 192.168.0.1 dev eth0 위와 같은 형식으로 쓰여집니다. 네트워크에대해서 간단히라도 아시는 분이라면 충분히 알고 있을것으로 판단이 되어집니다. route에 default gateway에 192.168.0.1 정보를 추가하는것이고 이것은 eth0에 입력이 되어집니다. 일반적으로 gateway는 1번이나 254번을 많이 사용합니다. (어디까지나 대체적으로 말입니다) 위와 같이 되어..
1. WAS server dump.... 최근 was 서버에 문제가 많이 생겨서 was쪽만 죽어라 파본적이 있다. 일단 was서버에는 무료로 배포중인 tomcat (톰캣...고양이다), jboss, weblogic, webshpere, JEUS 등등등등....여러가지의 종류가 있다 WAS서버라고도 하고 미들웨어라고도 하는것같더라...표현의 방식으로 치면 미들웨어에 was가 포함되어진다고 생각하면 될것 같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WAS서버는 결국 JVM을 통해서 처리가 되어진다. 결국 dump분석은 tomcat의 분석이 아니라, java memory영역에 대한 분석이 되어질수도 있다는점을 생각해보자. 일단 Java의 메모리 구조 넓게만 생각하고 설명을 하는것이 편할것 같다 Heap영역이라고 불리는 JVM의 메모리 구조는 YongGen,..
linux disk swap 늘리기 swap는 일반적으로 시스템 성능이 많이 저하되어질때 스왑을 늘리는 방법이 있습니다. 현재 메모리의 정보나 swap의 정보를 보시고 싶다면 free / swapon -s 명령을 사용하여 보시면 됩니다. 첫번째 방법> disk partition으로 남은 공간 활용하기 물론 이 방법은 disk를 완전히 사용하고 있다면 서용이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disk에 남은 공간을 두지는 않겠죠?) 그리고 이 부분에 대해서는 fdisk만 잘 보시면 충분히 해답을 얻을수 있을것이라고 생각합니다 (t....이라고 말하진 않겠습니다..^^;) -->물론 이 작업이 행해진다면 fstab에도 잊지말고 등록을 해주셔야 합니다. 두번째방법> 파일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touch로 swap이라는 빈 파일을 만들어 줍니다. cmd>..
mke2fs 사용방법? (이런것도 포스팅해도 되려나?) mke2fs에는 상당히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Block size, Fragment size, inode수, 슈퍼블록, 첫번째 데이터 블록...........등등등 (적기 귀찮으므로 패스) 사용방법> ex>mke2fs -t ext2 /dev/sda1 ext2시스템 형식으로 포맷을 합니다. option -t ext2 (ext2형식의 포맷) -j (ext3형식으로 포맷 - 저널링 기술이 적용이 되어졌습니다) -b 숫자 (블록크기를 지정합니다) -c (배드블록을 검사합니다, 상당한 시간이 걸립니다) -f 숫자 (Fragment를 등록합니다. 가급적 비추천해드립니다->디스크장애요인이 될수 있습니다) -i 숫자 (inode당 바이트수 지정 티폴트는 4096입니다) -m 숫자 (root의 예비블록을 남겨줍니..
linux hdparm 사용과 fdisk 명령어 hdparm 디시크의 속도와 성능을 테스트하는 툴로써 사용되어지고 뿐만 아니라 일부의 튜닝도 가능합니다. hdparm -t /dev/sda 와 같은 형식으로 사용을 할수있고, "-t"옵션은 버퍼링이 전혀 되지 않은 데이터를 실제로 얼마나 빠르게 읽을수 있는지 확인하는것입니다. 옵션 -t : 버퍼링 되어지지 않은 데이터를 읽을때 -T : 버퍼링 되어진 테이터를 읽을때 (cache) fdisk 일단 리눅스 시스템에서 장치명을 어느정도는 익히 알아두셔야 할것입니다. 예를들면 IDE방식의 HDD는 /dev/hda와 같은 형식으로 생기고 파티션작업을 해서 나눈다면 /dev/hda1이라고 생성이 되어질것입니다. 물론 물리적인 디스크는 hda가 맞습니다. SCSI장비와 같은경우는 sda의 형식을 따르고, 파티션을 나..
linux system disk 추가 하기 1. 현재 시스템의 mount되어진 disk 확인 1>fdisk -l 2>mount 2. HDD 장착 3. fdisk로 disk 파티션 생성 fdisk /dev/sdc (장비명) cmd>p ->Id확인 cmd>n (파티션 number 입력) cmd>w (저장) 4. mke2fs /dev/sdc (장비명) 5. dir 생성후 mount fstab에는 /dev/sdc /dir filesystem type(ext3) defaults 1 2 위와 같은 방법으로 추가를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fdisk에 관련되어서는 다시한번글을 올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