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네트워크 본딩 (bonding)
본딩의 필요성
- 본딩을 구성하는 이유는 네트워크 확장(RR) 혹은 네트워크 안정성 향상(AB) 둘중 하나의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1. 본딩시 설정을 해야할 파일
/etc - modprobe.conf
/etc/sysconfg - network
/etc/sysconfig/network-scripts - ifcfg-eth0
ifcfg-eth1
ifcfg-bond0
2. modprobe.conf 설정 (추가)
alias bond0 bonding
options bonding mode=1 #mode 1, Active-backup 0, Round-Robin
options bond0 miimon=100
3. network 설정 (추가)
GATEWAY=게이트웨이주소
GATEDEV=bond0
4. ifcfg-bond0 설정 (일반적으로는 파일을 새로 생성)
DEVICE=bond0
ONBOOT=yes
BOOTPROTO=static
IPADDR=172.21.25.148
NETMASK=255.255.252.0
5. ifcfg-eth* 설정 (추가)
MASTER=bond0
SLAVE=yes
※주의사항
1. BONDING device의 MAC는 Master (eth0)의 디바이스를 가지고 올라온다 (MAC체크하는곳에서는 뻘짓할 확률이 높다)
-> FAIL OVER시에는 MAC이 변경이 되어진다.
2. 1Gb에서는 eth0 -> eth1의 순서대로 service startup 되어지는데 이 경우 AB가 정상동작을 하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etc/sysconfig/network-script/ifdown-eth에서 stop script중 "| tac"를 추가함으로써 처리가 가능합니다.
3. bonding device에 MAC를 박아도 되나 tac를 통한 처리를 해야 나중 mac체크로 인한 오류가 없습니다.
※확인 사살
/sys/class/bond0/net 에서 bonding 관련되어진 내용 확인이 가능합니다.
위 파일 수정시에는 vi는 적용되어지지 않으며 echo "1" > net 을 통한 명령어만 가능합니다.
'01. operation > vii. High availabil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HA를 구성하기위한 이야기..(스토리지) (0) | 2010.07.01 |
---|---|
단순한 Active - Stand by 구조.. (0) | 2010.04.08 |
고가용성 글을 시작하면서....(HA) (0) | 2010.04.08 |
서버 이중화? HA? 이것들은 뭥미? (1) | 2010.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