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ux

(9)
고가용성 글을 시작하면서....(HA) 고가용성을 확인하면서 여러가지를 고민을 했습니다. 사실 고가용성....말부터가 야리꾸리 한것이 쉽게 접근할수 없는것이 사실이고... 장비도 비싸면서 평소때에는 개뿔도 없고...(응?) 장애 터지면 더 단일서버보다 더 골치 아픈것이 고가용성입니다. 안정화가 되어진 시스템에 고가용성을 도입한답시고, 더 큰장애를 일이키는곳을 보아온지라, 만약 단일장비로도 충분한 여유가 있다면 단일장비로 버티는것이 어떨까하는 의견입니다... (이 부분은 개인적인 견해이므로 무시하셔도 됩니다. 그냥 제 경험이 그렇다는것이니까요) 고가용성 cata.는 Network, Kernel, Application, Prog. 등 여러가지가 복합적으로 결합되어져 나타는 부분인지라, 카타를 설정을 해두고, 실제 운용글들은 각각에 맞는 Cata...
문자열 변경 find . -name "userinfoetc.conf" -exec perl -pi -e 's/aaaa/bbbb/g' {} \; find . -name *.zone | awk '{ print "cat "$1" | sed "s/aaaa/bbbb/g" >"$1 }' | sh perl -pi -e 's//mrtg/hub//mrtg/mrtg3/mrtgdata/g' Linux system shell에서 변경하는 방법과 perl을 통해서 변경하는 방법 카타로그를 perl로 해야할지, shell로 해야할지...난감한 명령어들
linux 메모리 계산 리눅스에서는 자동적으로 모든 램의 빈 공간을 버퍼 캐쉬로 사용하여 메모리를 효율성을 높이고있으며 프로그램에서 많은 메모리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캐쉬의 크기를 줄인다. 리눅스에서 실제로 사용 가능한 메모리는 ‘free+buffers+cached’ 이다. [root@linux net]# free total used free shared buffers cached Mem: 95648 93048 2600 65132 20824 36688 -/+ buffers/cache: 35536 60112 Swap: 201560 108 201452 사용가능 메모리량 : ( 2600+20824+36688 )/1024 = 58M
Server 부하량 측정 및 성능 검토 서버의 부하량 측정 관련하여서 정리하다가 문득 생각이 들어서 적은 내용이다. 사실상 서버의 부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란 너무나 애매한 상황이 많이 발생되어지기 마련이고, 이러한 상황속에 엔지니어들은 이 부하가 어디서 발생이 되어지는지, 그리고 최적화 작업을 어떻게 진행할것인지에 대해서 많은 고민을 하고 있고 해결책을 내 놓는다. 가장 좋은것은 돈으로 발라주는 서버...=_=;; (사실 돈으로 안되는게 어디있냐) 서버안에 5만원권 지폐로 가득 채워봐라.......아마도 서버는 쌩쌩 날라다닐것이다. (설마 정말로 하시는분은 없을거라고 생각을 하지만.) 서버 부하가 높으면 서비스 지연, 혹은 장애 커지면 OS가 뻑가는일까지 발생되어지게 마련이다. 그래서 서버 담당자들은 항상 CPU, IO관련되어진 상황을 예의 ..
ps ps 명령어 ps 명령어는 BSD계열과, linux계열로 argv를 줄수 있으며 일반적 BSD계열보다는 linux계열의 argv를 많이 사용하게 되어진다. (BSD는 argv 뒤에 -가 붙지않는것이 일반적이다) 사실상 ps에 대해서 활용방안은 그때그때마다 man page를 참조하는것이 가장 바람직할것으로 생각이 되어진다. process status정보를 나타내고 기본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옵션은 -ef 정도이다. ps auwx|grep mta USER PID %CPU %MEM VSZ RSS TTY STAT START TIME COMMAND root 16969 0.0 0.0 5372 720 ? S 13:05 0:00 /tims/bin/tmtad -s -b /tims mailadm 16970 0.4 1.2 5..
sar sar 명령어 sysstat rpm 패키지에 존재하고 있다. sar는 기본적인 system에 관한 정보를 남길수 있도록 되어져 있고, 설치하는것을 추천한다 sar 1 10 (system activiry report를 1초에 한번씩 총 10회 보여준다) CPU %user %nice %system %iowait %steal %idle %user :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CPU 사용률 %nice : nice로 스케쥴링의 우선도를 변경한 프로세스가 사용자 모드에서 CPU를 소비한 비율 %system : user에서 요청한 부분을 처리하기 위한 system사용률 (ex:system call) %iowait : I/O 관련되어진 대기율 %steal : xen등과 같이 가상CPU에 관련되어진 CPU사용률 %idle :..
lost+found 디렉토리는 무엇을 하는 녀석인고? linux file disk를 살펴보면 항상 새로운 파티션의 root에 해당 하는 부분에 보여지는 lost+found라는 디렉토리의 정체에 대해서 궁금증을 무심결에 넘겼을지도 모른다.. 이 디렉토리는 fsck또는 e2fsck등과 같은 파일 시스템 체크 및 복구 유틸리티 실행시에 연결이 끊어진 inode들이 숫자 파일형태로 존재하는곳이다. 텍스트파일경우에는 여러가지 명령어를 통해 내용을 확인후 복구할수도 있다. 중요하다면 중요한 디렉토리이니 가급적 삭제 하지 않는것이 옳바르다.. 가끔 보면 삭제해도 될까요? 라고 하는데.... 정말 disk공간이 부족하다면 뭐 별수 없을것 같지만...그래도 삭제 하지 않는것이 정답이지 않을까?
Linux Networking Admin 굳이 admin이라고 말해야할지....말아야 할지...뭐...일반 유저가 사용할일은 아마도 없을것입니다..>_ 콘솔 GUI로는 netconfig를 사용할수가 있습니다. ping... 관리자분들은 정말로 이 ping이라는 명령어를 자주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ping을 날렸을때 응답을 해주는 ICMP를 disable시켜두면 ping으로 응답을 하지 않는것은 당연하지요...간단하게 몇가지 옵션만 정리하겠습니다. -c NUM (NUM횟수만큼만 ping테스트를 합니다) -s NUM (NUM만큼 페킷 사이즈를 전송합니다 단위는 byte입니다) -i NUM (NUM 만큼의 시간후에 ping테스트를 합니다) -q (지속적으로 하지 않고, 종합 결과만 보여줍니다) traceroute 특정 구간에 대해서 어떠한 ..